728x90 반응형 쿠버네티스6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5 | Docker&Kubernetes 학습 37 이번엔 쿠버네티스의 명령어 몇 가지를 직접 다뤄보자.이전 글에서 사용한 매니페스트 파일을 사용할 예정이다.매니페스트 파일로 파드의 개수 늘리기실습 내용사용할 파일항목값매니페스트 파일 이름apa00dep.yml사용할 커맨드커맨드내용옵션apply리소스의 변경 사항을 반영-fget리소스의 상태를 화면에 출력 1. 디플로이먼트의 매니페스트 파일 수정앞서 작성했던 매니페스트 파일(apa00dep.yml)에서 레플리카의 수를 3에서 5로 수정하자.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name: apa00depspec: selector: matchLabels: app: apa00kube replicas: 5 ← 여기를 수정 template: me.. 2025. 1. 1.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4 | Docker&Kubernetes 학습 36 이번에는 작성한 매니페스트 파일을 쿠버네티스에 읽어 들이는 방법을 알아 보자. 그리고 쿠버네티스 역시 명령어를 통해 조작하는데, 이 명령어를 익히고 실제로 파드를 만들어보자.쿠버네티스 명령어쿠버네티스를 조작할 때는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한다.쿠버네티스는 도커 엔진과 별개의 SW이므로 명령어도 다르다.조작 방법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명령 프롬프트/터미널을 사용한다.kubectl 명령어의 형식: kubectrl 커맨드 옵션주요 kubectl 커맨드커맨드내용create리소스를 생성edit리소스를 편집delete리소스를 삭제get리소스의 상태를 출력set리소스의 값을 설정apply리소스의 변경 사항을 반영describe상세 정보를 확인diff'바람직한 상태'와 '현재 상태'의 차이를 확인expose여러 .. 2025. 1. 1. 쿠버네티스 사용하기 3 | Docker&Kubernetes 학습 35 쿠버네티스 정의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복잡해보일 순 있어도 직접 따라 적성해보거나, 실습을 보면서 친해져보자.매니페스트 파일이란쿠버네티스는 매니페스트 파일(정의 파일)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파드를 생성한다.매니페스트 파일의 내용을 쿠버네티스에 업로드 → 데이터베이스(etcd)에 '바람직한 상태'로 등록됨→ 서버 환경을 이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매니페스트 파일의 작성방법1. YAML 형식으로 매니페스트 파일 작성파드나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쿠버네티스에서는 매니페스트(manifest)라고 한다.이를 적은 파일을 매니페스트 파일(정의 파일)이라고 하고, YAML 또는 JSON 형식으로 기재한다.JSON 형식은 컴퓨터로 처리하는 것이 목적이고, 사람이 설정 파일을 읽고 쓴다면 YAML파일을 주로.. 2025. 1. 1. 도커 동작 원리 | Docker&Kubernetes 학습 3 도커 동작OS 위에 도커 엔진이 동작 → 도커 엔진 위에서 컨테이너 동작 → 컨테이너 안에서 OS와 비슷한 것이 동작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 동작을 전제로 한다.가상 머신을 통해 리눅스를 컨테이너에 설치하여, windows나 macOS용 SW도 컨테이너 안에서 동작 가능cf. OS( Operating System ): SW나 프로그램의 명령을 HW에 전달하는 역할cf. 리눅스( Linux ): 서버용 OS의 일종, RedHat, CentOS, Ubuntu 등cf.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 SW로 OS를 구축하는 SW, windosw에서 linux를 사용하는 등의 상황에서 사용, VirtualBox, VMware 등도커 허브: 인터넷 상에 도커 이미지를 모아놓은 곳( https://hu.. 2024. 11. 5. 도커(docker)와 서버(server)의 관계 | Docker&Kubernetes 학습 2 서버(server)어떤 서비스(service)를 제공(serve)하는 것sw 즉 기능적 서버를 의미하기도, hw 즉 물리적 서버를 의미하기도 함서버 역시 일반적인 컴퓨터와 비슷하며, 개인용 컴퓨터를 여러 사람이 이용하면 서버다.따라서, 서버의 기능은 sw가 제공하는 것웹 서버용 sw 설치 -> 웹 서버메일 서버용 sw 설치 -> 메일 서버여러 sw를 설치하면,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가 된다. 도커(docker)와 서버(server)도커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완전한 격리 가능도커를 이용해 하나의 서버에 여러 sw를 독립적인 환경에서 안전하게 운용 가능물리적 서버의 수를 줄일 수 있다.관련 패키지나 library 업데이트에 따른 위험 제거비슷하거나 동일한 폴더 경로에 따른 혼란 방지.. 2024. 10. 12. 도커(Docker)와 컨테이너(Container)란? | Docker&Kubernetes 학습 1 컨테이너(container)독립된 환경으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container를 이용하면, 하나의 PC에 동일한 버전은 물론, 서로 다른 버전의 동일한 sw를 설치할 수 있다. 도커(docker)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격리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SWcontainer를 다루는 기능을 제공하는 SWdocker사용을 위해, 도커 엔진(docker engine, 도커의 본체)이 필요 도커 엔진(docker engine)container 생성과 구동이 가능container의 빵틀과도 같은 역할을 할 이미지(ex. iso 파일)가 있어야, container 생성이 가능용량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계속 container 생성 가능 docker 사용에 따르는 제약사항linux OS가 필요windo.. 2024. 10.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