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Synology NAS 계정 PW 변경] Synology Nas의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변경하기 앞서 nas에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방법을 기록했다. 하지만 다수가 이용하는 경우엔, 내가 개인마다 비밀번호를 설정해줄 수가 없다. 따라서 초기 비밀번호를 설정해주고 각 사용자가 스스로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게 하는 게 현명하다.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기록한다. 참고사항 - Synology NAS에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 [Synoloy NAS 계정 추가] Synoloy Nas에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tistory.com) 1. 각 사용자는 인터넷으로 nas에 접속하여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 한다. - 인터넷으로 nas에 접속하기 : 'nas의 IP 주소':5000 2. 우측 상단의 사람 아이콘을 눌러 '개인' 클릭! 3. 여기에서 변경하고 '확인'을 누르면 변경 완료! 2021. 8. 29. [Synoloy NAS 계정 추가] Synoloy Nas에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앞서 nas에 공유 폴더 생성까지 끝냈다. 이제는 생성한 공유 폴더를 사용할 수 있게 계정을 추가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참고사항 - Synology NAS에 공유 폴더 생성하기 : [Synology NAS] Synology NAS에 공유 폴더 생성하기 (tistory.com) 1. [제어판] -> [그룹]에서 'user' 편집! 2. 공유 폴더 별로 사용자 지정 선택 후 필요에 따라 체크 사항 수정 - default 값인 읽기/쓰기 등을 선택하는 건 자유 3. 설정 완료 후 하단의 체크사항 체크 후 '확인' 클릭! 4. [제어판] -> [사용자]에서 상단의 '생성' 클릭 5. 추가할 사용자 정보(ID/PW) 입력 후 '다음' -> 사용자가 추가된 그룹 선택 후 '다음' 클릭! 6. 각자 상황에 맞게 설정.. 2021. 8. 29. [Synology NAS] Synology NAS에 공유 폴더 생성하기 앞서 NAS의 가장 기본적인 절차를 완료 했으니 공유폴더를 생성할 차례이다. 여기선 그 과정을 기록한다. 참고사항 - Synology NAS의 기본적인 설정 및 초기 구축 관련 링크 : [Synology NAS] Synology NAS 구축하기 (tistory.com) - 필자가 지정한 설정을 따르지 않고 각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설정해도 된다. - 아래 사진들의 사이트에 접속하길 원한다면 "NAS가 연결된 PC의 IP주소:5000"를 입력! 1.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눌러 'File Station' -> '확인' 클릭! 2. 새로 뜨는 창에서 '확인' 3. 저장소 관리자에서 좌측의 [볼륨] 탭 클릭 후 상단의 '생성' 클릭 4. '사용자 지정 체크 후 '다음' -> '새로운 스토리지 풀 생성' 체크 후.. 2021. 8. 29. [Synology NAS] Synology NAS 구축하기 NAS(Network Attached Storage)란 외장하드와 거의 유사하지만 이름처럼 네트워크로 접근이 가능한 저장소이다. 이번엔 NAS를 구축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참고사항 - NAS가 연결된 PC 혹은 동일한 허브로부터 나온 인터넷 선을 사용하는 PC에서 진행해야 함 - NAS 구입 시 따라오는 설명서에 적힌 주소 중 http://synologynas:5000 주소를 기반으로 진행 1. 주소에 접속 후 뜨는 화면에서 default로 진행 2. 계속 진행! 3. 설치 진행 후 '연결' 클릭! 4. 관리자 계정 입력 ->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설정 혹은 '건너뛰기' - 필자는 사내 NAS였기에 모두 건너뛰었다. 5. NAS 구축의 기본 설정 완료! Synology NAS에 공유폴더 생성하기 : [Sy.. 2021. 8. 29. [Sourcetree] Sourcetree 설치하기 코드의 형상관리 및 버전관리를 한다면 sourcetree가 빠질 수... 도 있지만 대부분 들어왔을 것이다. git, svn등을 이용해 코드를 관리할 때 sourcetree를 사용하면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명령 프롬프트가 익숙한 고수분들에게는 조금 낯설 수는 있겠다. 오늘은 sourcetree 설치하는 가정을 기록한다. 참고사항 - 사전에 Git이 설치되어 있으면 나중에 따로 설정 안해도 된다. - Git 설치는 다음 링크를 참고 : [GIT] Windows 10에 Git 설치하기 (tistory.com) 1.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sourcetreeapp.com)에 접속하여 설치파일 다운로드! 2. 설치파일 실행 .. 2021. 8. 29. [Visual Leak Detector] Visual Leak Detector 설치하기 작성하는 코드의 양이 많이질수록, 동적 메모리 할당을 했지만, 해당 메모리를 해제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 상황이다. 코드의 품질 관리면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했다는 것은 자원낭비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금은 자원 낭비의 측면만 있더라도, 항상 하나의 문제가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하고 방지해야 한다. 오늘은 코드 내 잔존해 있는 메모리 누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Tool인 Visual Leak Detector를 설치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1. Visual Leak Detector | Enhanced Memory Leak Detection for Visual C++ (kinddragon.github.io) 링크에 접속하여 우측 상.. 2021. 8. 2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728x90 반응형